위프레젠트
홈페이지홈페이지 > 소식 > 위프레젠트

위프레젠트

Jun 22, 2023

많은 창작자들이 자신의 성공과 청중과의 관계가 자신이 사용하는 플랫폼의 시스템과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된다고 느끼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틀을 깨고 온라인에서 여전히 성공을 찾을 수 있습니까? co-matter와 협력하여 만든 연구 메모 "Networked Counterculture"에서 Cortiez, MSCHF, SAULT 등의 일부 제작자가 이러한 플랫폼을 어떻게 전복시키고 자체 게임에서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승리.

전체 보고서 다운로드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베리테는 세 번째 앨범 발매를 5일 앞둔 2월 20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How do I get your attention?"이라는 글을 올렸다. 여기에서 그녀는 크리에이터 경제에서 아티스트가 된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설명합니다. 팬과 더 깊은 관계를 맺고자 하는 절박한 희망 속에서 충분한 조회수, 좋아요, 댓글을 얻기 위해 한입 크기의 이해하기 쉬운 순간을 쏟아내야 한다는 끊임없는 압박감, 더 의미있는 수준입니다.

Verite는 자신과 팬 사이의 관계를 중재하고 효과적으로 소유하는 플랫폼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이 혼자가 아닙니다. 많은 예술가들은 만족스러운 알고리즘과 자신의 작업에 충실하는 것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한때 중개인을 제거하고 아티스트와 관객 사이에 보다 직접적이고 진정한 연결을 창출하겠다고 약속했던 플랫폼은 이제 그 자체가 문지기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갇혀 있다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우리는 납치범들과도 사랑에 빠졌습니다. 우리가 온라인으로 스트리밍하는 한(예: 폭식, ㅋㅋㅋ, 트롤), 우리의 관심을 끌고 알고리즘적으로 습관을 분석하여 이 무한 루프의 반대편에서 생성된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플랫폼이 있습니다. 귀하가 게시하지 않으면 다른 누군가가 글로벌 소셜 무대에서 귀하의 자리를 차지할 것이며, 나머지는 소진되고 정상에 오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이것이 관심 경제가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온라인에 표시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잊지 않기 위해 계속해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반문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그것이 다를 수 있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예술적 무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것이 가능합니까? 우리를 영구 콘텐츠 창작자로 만드는 시스템 내에서 반문화가 가능한가?

MSCHF의 Big Red Boots를 보면 반문화가 즉시 떠오르지 않을 것입니다. 최신 상품 중 하나인 1960년대 만화 캐릭터 Astro Boy에서 영감을 받은 320달러짜리 거대한 빨간색 고무 부츠는 정치적, 문화적 의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것의 유일한 목적은 수많은 인플루언서 계정을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바이러스로 퍼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MSCHF 개체에는 평균적으로 설계된 바이럴 캠페인과는 다르게 느껴지는 방식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뭔가가 있습니다. 브루클린 미술 집단은 자신들의 작품을 트로이 목마라고 묘사합니다. 미학, 관습, 규범을 모방하여 문화에 침투하는 것입니다. 네트워크에 들어가면 그들은 내러티브 잠재력을 발휘하여 인터넷의 좋은 사람들인 우리를 광경의 참가자로 끌어들입니다.

런던 남부에서 큰 성공을 거둔 스트리트웨어 및 라이프스타일 프로젝트인 Corteiz는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데 있어 색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창립자 Clint419가 자신의 최근 드롭을 위해 수천 명의 팬을 거리로 끌어들이는 전술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그는 자신이 조율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바탕으로 움직입니다. 액세스는 엄격히 제한되며 참여는 IRL로 이루어지며 존재가 필요하며 신뢰를 얻습니다. 모든 것이 공개되고, 접근 가능하며, 풍부해지기를 원하는 플랫폼의 규칙에 맞서 Corteiz는 정반대의 방식으로 성공합니다.

플랫폼 무정부 상태의 가장 급진적인 예는 Sault일 수 있습니다. 수백만 개의 스트림과 수상 후보에 오른 앨범에도 불구하고 영국 음악 집단은 온라인에서 거의 눈에 띄지 않습니다. 그들을 네트워크에 떠다니게 하는 콘텐츠도 없고, 그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에게 상기시켜주는 채널도 없습니다. 그들의 부재는 그 자체로 진술입니다.

이 세 프로젝트의 공통점은 자신의 예술, 음악, 패션 등 자신의 오브제가 네트워크 내에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유산을 만들어낸다는 점입니다. 그들에게 문화를 매개하는 플랫폼의 논리는 나중에 고려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과정의 일부입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이 플랫폼의 한계 내에서 성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동안 MSCHF, Corteiz 및 Sault는 이를 뛰어넘어 운영합니다. 이 세 집단은 매스미디어와 자본주의를 예술 매체로 사용합니다. 즉, 매스미디어와 자본주의를 가지고 놀고, 이를 통해 자신의 작품과 청중 사이의 관계에 대한 권력과 주체를 되찾기 위한 규칙을 전복합니다.